닫기

사업접수 Description

  • 브로커 또는 매도자의 제안서 수신 / 입찰 참여 그 외 다양한 수단을 통한 딜 소싱
  • 심사 대기 단계의 평가 및 리뷰
  • 투자심사위원회 보고- 1차 심사: 위원회는 사장을 포함한 각 부문 임원과 담당 투자 본부장으로 구성
  • 추가 진행 여부 투자심사 위원회 결정
  • 리스크관리 인력을 통한 보안유지 계약 체결

자산 심사 / 투자 결정 Description

2차 심사

  • 투자심사위원회에서 해당 딜의 평가 심사를 New Deal Template (심사보고서양식) 중심으로 진행하여 승인된 건에 한하여 담당 거래 팀을 배정하고 Teaser 작성 후 사전 마켓팅 업무 계획 수립

2차 심사

  • 최종 투자 심의 위원회 의결
  • 담당 팀 및 담당자 업무 구체화와 업무 절차 결의
  • Exclusivity 확보 – 매도자와 Exclusivity 및 Term sheet 거래조건 결의

현지 실사 / 거래 이행 Description

3차 심사에서 결의 된 사안에 의해 아래 업무 진행

  • 외부 업체 RFP 진행 후 수신된 제안 내용 공유 (조세, 법률, 물리, 현지 운용사, 감정평가)
  • 외부 서비스 업체 선정 및 용역 계약서 체결 결의 – 투심위원회 의결 필요 사항
  • 거래 담당자 실사 수행 –투자거래 및 운용 담당 실사 수행
  • 환헷지, 투자 구조 (펀드 구조, SPV 등), 소유 및 경영 구조, 계좌 등 관리 진행
  • 매매계약조건 본문, 파이낸싱 조건 협의, 자산운용 세부사항 (AMA) 협의- 투심위원회 의결 필요 사항
  • 투자 및 거래관련 담당자에서 펀드설정 후 운용 담당자로 해당 딜 인수인계- 설정 단계부터 투자거래팀과 운용팀 협업 필요.

펀드 설정 / 운용 Description

  • 자산운용팀에서 자산 성과 확인 및 위험 관리를 위한 정기 모니터링 지속
  • 주간 QCCM 미팅 개최 시 보고가 필요한 모든 사항을 위험관리 위원회 전달
  • 자산운용팀에서 투자자 대상 정기 투자 및 컴플라이언스 보고서 송신 및 상시 질의 응대
arrow
  • 1차 심사보고서
    양식작성
  • 관련법규 및 규범, 약관 및
    투자설명서 내부통제기준,
    윤리강령
  • 자산개요
  • Deal 일정
  • 현금흐름
    모델
  • 장점 &
    단점
  • 임차인 &
    임대차계약
  • 투자자
    의향
  • 담당자
    업무배분
  • 담당자 업무 구체화
    및 업무 배분
  • R&R
    구체화
  • 투자본부
    자산운용부문
    준법감시
  • 거래 담당자
    실사 수행
  • NDT 지속적
    업데이트
  • 펀드 구조화
  • 거래 예산
  • 자문담당자
    세부업무
  • 선순위
    은행 조건
  • 자산운용
    세부사항
  • AMA 작성 완료 및
    AMA 내용 중심의
    모니터링
  • 주간 QCCM 미팅